2025년부터 평생교육바우처가 ‘평생교육이용권’으로 새롭게 개편되면서, 다양한 분야의 교육기관에서 자유롭게 강좌를 수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용할 수 있는 평생교육이용권 사용처와 사용기관을 손쉽게 찾는 방법까지 함께 안내해드리겠습니다.

평생교육이용권 사용처 최신정보

2025 평생교육이용권

평생교육바우처가 ‘평생교육이용권’으로 개편되었습니다
2025년부터 기존의 평생교육바우처가 ‘평생교육이용권’이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변경된 것인데요.
이는 국민의 평생학습 참여 기회를 넓히고,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교육지원을 확대하기 위한 개편입니다.
2025년 주요 변경사항으로는 우선, 운영 주체 변경되었습니다.
기존에는 교육부가 전국 단위로 관리하였으나, 2025년부터는 17개 광역지자체로 이관되어 각 지역 특성에 맞춘 맞춤형 지원이 가능해졌습니다.

그리고 지원 대상 확대되었습니다.
이전에는 저소득층 위주로 신청이 가능했으나, 이제는 일반 국민, 장애인, 노인, 디지털 취약계층 등 다양한 계층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아래 버튼을 통해서 2025 평생교육이용권 정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원 내용

지원 금액: 1인당 연간 35만 원 (우수 이용자는 최대 70만 원까지 가능)
지원 내용: 평생교육 강좌 수강료 및 해당 강좌의 교재비
지원 인원: 약 11만 5천 명, 총 예산은 362억 원 규모
자격증 취득, 직무 역량 강화는 물론 취미 및 자기계발을 위한 강좌도 자유롭게 수강할 수 있습니다.

이용 방법

선정된 대상자는 본인 명의의 NH농협 채움카드(신용 또는 체크)를 발급받게 되며, 여기에 지원금 35만 원이 포인트 형태로 충전됩니다.
이 포인트는 강좌 수강료와 교재비 결제 시에만 사용할 수 있으며, 선정된 본인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가족을 포함한 제3자에게 판매하거나 양도, 대여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지원금은 2025년 12월 31일까지 사용 가능하며, 기한이 지난 이후에는 잔액이 남아 있어도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또한 남은 금액을 다음 해로 이월하는 것도 불가능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결제 불가 항목>
강의 외의 교재 (PDF, e-book 포함)
유아, 어린이, 청소년(19세 미만) 대상 강좌 (부모 동반 포함)
전자·통신기기 구매 (강의 패키지에 포함된 기기 포함)
기타 물품, 입회비, 자격증 응시 및 발급료, 보험료, 택배비, 수수료 등

평생교육이용권 사용처 및 사용기관 안내

현재 사용 가능한 기관은 약 400여 곳으로,
EBS, 에듀윌, 클래스101, 피아노 학원, 운전면허 학원, 어학원, 인테리어 전문 교육기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플랫폼부터 오프라인 학원까지 선택의 폭이 넓어졌는데요,
다양한 사용기관을 찾을 수 있는 평생교육이용권 사용처 찾는 방법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평생교육이용권 공식 누리집에 접속합니다.
2) 상단 메뉴에서 ‘사용처 조회’를 선택합니다.
3) 지역별 또는 분야별로 원하는 기관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아래 버튼에서 평생교육이용권 사용처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0개의 댓글

답글 남기기

Avatar placeholder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